본문 바로가기

투자생각

주식하는 마음

 

 

1. 투자아이디어는 반증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기록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투자 후에는 기록내용을 보면서 구조적,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2. 투자결정을 할 때는 항상 나의 반대 포지션 입장에서도 생각을 해야한다. 그래야 편향효과를 어느정도 제거할 수 있다.  주식보유자 입장에서는 미보유자가 이 주식을 이 가격에 살까?   현금보유자 입장에서는 주식보유자가 이 가격에 매도를 할까? 라는 고민을 해야 한다.

 

 

3. 투자는 복잡계, 불확실성의 세계다.  과정과 결과의 상관계수는 1.0 이하이다. 결과가 좋다고 과정이 좋았다고 할 수 없고, 결과가 나쁘다 해도  과정이 좋았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좋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4. 투자를 할때는 투자아이디어에 대해서 타임라인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타임라인에 따른 모니터링 지표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게임주를 모니터링 할때는 투자기간을 수개월로 잡고 매일매일 지표를 확인해야 한다. 반대로 시크니컬 주식은 1~2년의 투자기간을 잡고 몇 주 단위로 체크를 해야 한다.  타임라인이 없으면 투자가 아니다.

 

 

5. 주식을 팔까? 살까? 고민된다면  투자아이디어가 유효한가를 생각하라. 내가 얼마나 수익상태이고 매수단가가 얼마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현재 100%현금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주식을 몇 % 비중으로 채울 것인지 고민하라.

 

 

6. 모든 것은 100% 예측 가능한 것은 없다. 예측 보다는 노출을 조절해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놔라.

 

 

7. 철저히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남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포인트'에 대해서 모니터링 하라

 

 

8. 주식은 결국 중요한 사실 또는 정보에 대해 시장참여자들의 편향이 얼마나 없어지느냐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다. 내가 찾아낸 투자포인트가 시장참여자들한테 얼마나 알려지고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매도시점을 잡아야 한다.

 

 

9.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게임을 하고 있다. 서로 다른게임들이 혼재해 있다. 중요한 것은 내가하고 있는 게임속성을 알고 그것을 지켜야 한다. 동일종목에 대해서 투자자간의 투자결정이 다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10. 적정가격, 내재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시장참여자들이 만드는 것이다. 시장참여자들의 심리 파악이 적정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11. 역사적으로 동일한 사건은 절대 없다. 다만 유사할 뿐이다. 유사해 보이는 두 사건중에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라.

 

 

12. 투자철할을 버리고 투자취향을 버리고 물처럼 유연해지면 투자기회가 훨씬 넓어진다.

 

 

 

'투자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포트폴리오 구성방법  (0) 2022.01.27
브자TV 라이브 방송  (0) 2022.01.27
서사 (narrative)  (0) 2021.11.28
자산의 종류, 요건  (0) 2021.09.12
게임주 가투소 글  (0) 2021.09.08